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철학24

<나는 나를 지배하고 싶다(한 문장이 필요한 순간, 데일 카네기의 인생 아포리즘) - 데일 카네기> 1 두려울 땐, 용기를 기르고 싶을 땐1. 결단을 내리고 과감히-가장 앞서가는 사람은 대부분 결단을 내리고 과감히 실행하는 자들이다. 안전함을 우선시하는 배는 결코 먼 곳까지 항해할 수 없다.2. 용기를 기르고 싶다면 2: 너의 능력을 믿어라!-용기를 기르고 싶다면, 자신이 두려워하는 일을 하라. 성공적인 경험이 수없이 쌓일 때까지 계속해서 두려워한 일을 해내라. 이것이야말로 두려움을 극복하는 가장 빠르고 분명한 방법이다.3. 두려울 땐4: 나가서 바쁘게 움직여라!-나태함은 의심과 두려움을 키운다. 하지만 행동은 자신감과 용기를 키운다. 두려움을 극복하고 싶다면 집에 가만히 앉아 그에 대해 생각만 하고 있지 마라. 밖으로 나가서 바쁘게 움직여라. 2 첫발을 내디디려면1. 결코 포기는 없다-위기가 닥친다 .. 2024. 5. 12.
<가서 만나고 이야기하라 - 배정환> part1 가라(일단 문밖으로 나가라) 1. 몇 번의 경험이 모여서 처음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새로운 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시작하는 사람들만이 알 수 있습니다. 2.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일단 먼저 행동해 보는 것이다. 3. 목적을 위해 움직일 때 머리나 몸에서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근육의 불규칙한 운동. 4. 한계를 뛰어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한계를 넘어선 사람들과 같이 행동하는 것입니다. 5. 작은 성취에 감동하는 사람은 진취적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한 단계씩 밟아가는 여러 번의 성취를 통해서 성공의 느낌을 고스란히 얻을 수 있습니다. 6. 실제 일어나지 않았지만 마음속에 강한 확신과 믿음이 있다면 실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 7.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숫자, 스스로.. 2024. 4. 23.
<스탠퍼드식 리더십 수업 - 스티븐 머피 시게마쓰> 0장 잔혹한 조직 왜 조직에는 '경계선'이 있는가? 1. 진정 강한 리더는 지나치게 강하지 않다. 자신의 취약성을 솔직하게 인정할 줄 안다. 2.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첫째가 내용이며, 그다음이 화법이다. 3. 리더란 자신의 이익을 꾀하는 데만 집착하지 않고 전체의 이익을 배려하는 사람이다. 심리학적 측면에서 리더에게 필요한 것은 공감하는 힘이지, 이기적인 생각을 확장시키는 힘이 아니다. 4. 집단 심리와 개인 심리를 모두 이해하지 않고서는 인간의 마음을 이해할 수 없다.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면 사람을 움직일 수 없으며, 진정한 리더십을 갖추지 못할 것이다. 5. 집단이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말이다. 그런 까닭에 리더에게는 알기 쉽게 말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6. .. 2024. 2. 29.
<참 괜찮은 태도 - 박지현> 참 괜찮은 태도KBS ‘다큐멘터리 3일’,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의 다큐멘터리 디렉터로 일해 온 저자가 길 위에서 만난 수많은 사람들에게 배운 삶의 의미와 단단한 인생의 태도들을 정리한 책이다. 저자는 15년 넘게 카메라를 들고 국내외 곳곳을 누비면서 노숙자부터 대통령까지 안 만나 본 사람이 없을 정도로 길 위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그리고 그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들으며 삶의 해답을 찾고 그들에게서 따뜻한 위로와 삶의 지혜를 얻어 왔다. 덕분에 저자는 자신이 얼마나 좁은 세상에서 수많은 오해와 편견에 사로잡혀 살아왔는지를 깨달을 수 있었고, 넓은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깊이 관찰하며 정말로 많은 것을 배웠다고 말한다. 그중에서도 후회 없는 인생을 원하는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 2023.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