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철학25

<스위트 스팟 - 샘 리처드> Chapter 0 오리엔테이션당신이 가진 최고의 이야기를 따라가라1. 우리는 각자 자신의 길을 찾아나가야 하고, 그 과정에서 중요한 건 '일을 만들어나가는 것'과 동시에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을 받아들이는 것'이지요. 이 두 가지 사이의 균형이 바로 '스위트 스팟Sweet Spot'입니다.2. 저는 20대나 30대가 이런 균형을 배우는 데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해요. 특히 이 시기에 가장 많이 배워야 하는 것이 바로 '실패를 받아들이는 법'이에요.Chapter 1 첫 번째 수업호기심 Curiosity 질문이 이끄는 곳으로 가라1. 모든 질문에 답을 찾지 못하더라도, 질문을 던지는 것이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는 것을요. 정보를 빨아들이는 것, 곧 호기심을 멈추지 않는 것은 우리 사고를 더 창의적이고 풍.. 2025. 5. 13.
<한 번 사는 인생,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김종원> 제1장 내면에 존재하는 '언어'1. 사실은 모두의 것이지만 해석은 소수만의 특권이다. 해석할 수 있다는 건 그 사실을 온전히 받아들여서 자기만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2. 성장하는 과정은 1,2,3으로 시작해서 순서대로 100으로 가는 게 아니라 1,2,3에서 다시 1,2,3, 그리고 다시 1,2,3으로 돌아와 4 이상을 가지 못한 채 1,2,3만 무수히 반복하며 갑자기 이루어진다. 이런 성장의 법칙을 니체는 "나는 기다리지 못하고 너무 일찍 왔다. 나의 때는 아직 오지 않았다."라는 멋진 말로 표현했다.3. 밤이 된다해서 별이 저절로 빛난다고 생각하지 말라. 세상에 태어날 때부터 빛나는 존재는 없고, 의지를 갖고 분투하지 않으면서 그 빛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존재도 없다. 그냥 떠오른.. 2024. 12. 11.
<아주 보통의 행복 - 최인철> PART 1 행복에 관한 가벼운 진담 CHAPTER 1 행복한 천재들 - 평범한 일상을 행복으로 만드는 그들의 비결1. 행복감이 높은 참가자들일수록 좋아하는 것을 많이 적었을 뿐 아니라 범주도 다양했다. 또한 좋아하는 것에 대한 설명도 아주 구체적이었다. 반면 행복감이 낮은 참가자들은 좋아하는 것을 적어내는 일을 매우 어려워했다. 우리가 서로에게 던져야 할 질문은 자식의 학벌이나 통장의 잔고가 아니라 좋아하는 것의 잔고다.2. 실력은 알아야 할 것들을 알수록 커진다. 그러나 행복은 굳이 알 필요가 없는 것들을 모를수록 커진다.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이 어디 한두 가지일까만 굳이 알 필요가 없는 것들을 너무 많이 아는 것도 행복감을 떨어트린다.3. 여행은 오감을 자극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런 구체성은 경험.. 2024. 7. 16.
<클루지 - 개리 마커스> 1. 클루지의 유래:-대부분은 '영리한'을 뜻하는 독일어 단어 '클루그 klug'가 기원이라고 믿는다.2. 우리는 완전한 것에서 배울 수 없는 두 가지를 클루지에서 배울 수 있다. 첫째로 클루지는 우리가 진화해 온 역사에 대해 특별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로 클루지는 우리 자신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에 대해 단서를 줄 수 있다. 3. 우리는 일종의 '맥락 기억contextual memory'을 지니고 있다. 정보가 뇌 속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짐작조차 하지 못할 것이다. 우리는 보통 여러 가지 단서를 사용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기억 속에서 끄집어낸다. 무엇이 머릿속에 가장 자연스럽게 떠오르는가는 맥락에 따라 좌우된다. 4. 맥락 의존적인 기억은 커퓨터처럼 모든 기억을 똑같이 취급하는.. 2024.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