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문학10

<무기가 되는 책쓰기 - 조영석> 1. 책쓰기는 온리 원의 무기다-책 쓰기는 당신이 살아온 시간 속에서 피, 땀, 눈물과 노력을 통해 얻어진 프레임과 문제해결력을 찾고 정리해내는 과정이다. 당신이 쓴 한 권의 책은 당신이 문제를 해결할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음을 알리는 좋은 도구다. 2. 스펙이 아닌 브랜딩의 시대다-새로운 행동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는 데 21일이 걸리고, 습관이 몸에 배는 데 66일이 걸린다는 말이 있다. 3. 문제해결력을 가진 스펙을 장착하라- 비즈니스란 '가치를 제공하는 것'-벤처캐피털에 근무하는 지인을 만나서 그들이 투자하는 회사의 선정 기준을 들었는데, 제일 먼저 고려하는 것이 '그 회사가 발견한 문제의 크기'라고 했다. 지금은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당시만 해도 신생 회사가 발견한 문제의 크기를 보고 투자를.. 2024. 6. 22.
<큐빅리딩 - 김주헌> 1장 독서(Reading)1. 정보에만 치중한 독서, 실천하지 않는 독서, 포기하는 독서, 읽은 후 바뀌지 않는 독서는 오롯이 읽기가 시작이자 끝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일방통행을 '쌍방향 읽기'로 바꾸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2. '배운 대로 따라가지 말고 스스로 생각하라.' 말하자면 모방은 원조를 넘어서거나 이길 수 없다는 듯입니다. 따라서 독서법도 남들이 한 것을 따라 하지 말고 스스로 생각해야 합니다. 자신의 한계는 생각이 결정해 버리는 겁니다.3. 인생에는 3가지 영역이 있다. 큰 것, 급한 것, 중요한 것이다. 사람들은 늘 큰 것과 급한 것에 관심을 갖고 여기에 집중을 한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것은 무시하면서 산다. 인생에서 중요한 것을 스치고 간다. 현상만 보고 본질을 못 본다는 말.. 2024. 5. 30.
<예쁘게 말하는 네가 좋다 - 김범준> 1장 다가서기 마음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말 연습 1. 커뮤니케이션을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의 상대방에 대해 내가 아는 것이 무엇인가?를 확실히 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2.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앎이다. 3. 겸손이란 '내 식'이 아닌 '상대 식'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가 말하고고 싶어 하는 말을 하는게 아니라 상대방이 듣고 싶어 하는 말을 하는 것이 말하기의 정석입니다. 4. 잘 알지 못하면 절대 말하지 말아야 하며, 그나마 조금이라도 알고 있다면 당연히 듣는 사람의 관점에서 마음 편한 말을 조심스럽게 건네야 합니다. 5. 발 실수는 회복할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말 실수는 회복하기 어렵다. 6. 나를 응원하는 것에 익숙해지세.. 2024. 4. 3.
<돈과 사람을 끌어당기는 부자의 말센스 - 김주하> part1 부자의 생각과 관점 1. 많은 사람을 이롭게 해야 성공한다. 2. 대상이 넓을수록 더 많은 기회가 만들어진다. 3. 어떻게 남과 다른 방식으로 가치를 만들 것인지를 여러 관점에서 생각해보자. 모두가 하는 방법 말고 남다름을 줄 수 있는 것을 말이다. 4. 내 자산이 될 수 있는 이런저런 경험을 많이 쌓고 그 경험을 나눠라. 5. 시작도 실력이다. 6. 당신의 작은 경험도 누군가의 인생에 한 줄기 빛이 될 수 있다. 7. 먼저 주고 또 줘라. 그러면 길이 열린다. 8. 세상에서 두각을 나타내려면 모두가 하고 있는 기존의 콘셉트에서 벗어나야 한다. 즉 새로운 곳에 깃발을 꽂아야 한다. 새로움을 두려워하지 않을 때 삶이 위기에 처하지 않을 수 있다. 9. 거절을 염두에 두지 마라. 거절은 상대방이 .. 2024.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