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171

<실행이 답이다 - 이민규> 1장 결심 Decision Making 목적지를 확실히 정하라1. 성공에 이르는 경로를 찾아낼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첫째, 그들은 목표달성을 위한 남다른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 목표수준을 더 높게 잡는다.둘째, 한 가지 방법으로 실패하면 다른 대안을 찾으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실패해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셋째, 목표에 따라 이룰 수 있는 방법도 달라질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의 달성방법을 찾아낸다.2. '시발동기'는 목표를 달성한 상태를 상상하는 것(결과 지향적 시각화)으로 만들어지고 '유지동기'는 목표달성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다.3. 해결책을 찾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다.4. 실패한 사람들은 아무 생각 없이.. 2024. 7. 30.
<아주 보통의 행복 - 최인철> PART 1 행복에 관한 가벼운 진담 CHAPTER 1 행복한 천재들 - 평범한 일상을 행복으로 만드는 그들의 비결1. 행복감이 높은 참가자들일수록 좋아하는 것을 많이 적었을 뿐 아니라 범주도 다양했다. 또한 좋아하는 것에 대한 설명도 아주 구체적이었다. 반면 행복감이 낮은 참가자들은 좋아하는 것을 적어내는 일을 매우 어려워했다. 우리가 서로에게 던져야 할 질문은 자식의 학벌이나 통장의 잔고가 아니라 좋아하는 것의 잔고다.2. 실력은 알아야 할 것들을 알수록 커진다. 그러나 행복은 굳이 알 필요가 없는 것들을 모를수록 커진다.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이 어디 한두 가지일까만 굳이 알 필요가 없는 것들을 너무 많이 아는 것도 행복감을 떨어트린다.3. 여행은 오감을 자극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런 구체성은 경험.. 2024. 7. 16.
<클루지 - 개리 마커스> 1. 클루지의 유래:-대부분은 '영리한'을 뜻하는 독일어 단어 '클루그 klug'가 기원이라고 믿는다.2. 우리는 완전한 것에서 배울 수 없는 두 가지를 클루지에서 배울 수 있다. 첫째로 클루지는 우리가 진화해 온 역사에 대해 특별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로 클루지는 우리 자신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에 대해 단서를 줄 수 있다. 3. 우리는 일종의 '맥락 기억contextual memory'을 지니고 있다. 정보가 뇌 속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짐작조차 하지 못할 것이다. 우리는 보통 여러 가지 단서를 사용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기억 속에서 끄집어낸다. 무엇이 머릿속에 가장 자연스럽게 떠오르는가는 맥락에 따라 좌우된다. 4. 맥락 의존적인 기억은 커퓨터처럼 모든 기억을 똑같이 취급하는.. 2024. 7. 8.
<야망의 힘 - 짐 론> 1장. 야망이란 무엇인가?1. 야망은 '현명한 이기심'을 발휘하는 것이다.-현명한 이기심에서 말하는 '이기심'은 자기 이익만을 꾀한다는 뜻이 아니다. 다른 사람을 희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봉사함으로써 이익을 얻고자 하는 마음이다. -현명한 이기심은 부로 이어지는 반면 자기 보호는 빈곤으로 이어진다.2. 야망을 키우는 여섯 가지 원칙1) 자기주도 Self-direction-내가 어떤 사람이며 어디로 가고 싶은지 알고 있다. 지식을 쌓고 다가오는 기회를 대비한다.2) 자립심 Self-reliance-내 삶과 내게 일어나는 일에 책임을 진다. 3) 자기 규율 Self-discipline-한 번에 한 걸음씩, 한 번에 하루씩, 한 번에 한 행동씩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이해하고 매일의 목표를 달성.. 2024. 7. 3.
반응형